요즘 관심사당신이 몰랐을 자격증과 직업 세계

2022년이 한 달도 남지 않았어요. 내년에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생각해볼 시기. 남들 다하는 컴퓨터활용능력이나 토익 말고 새로운 자격증이 있습니다. 당신이 몰랐을 자격증과 직업 세계를 소개할게요. 보다 다채로운 2023년을 계획해 보자고요.

 


조주기능사

우리가 바(bar)에 가면 바텐더들이 각종 위스키로 술을 만들어주죠. 필수는 아니지만, 대부분의 바텐더라면 조주기능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호텔 바에서 일하기 위해서는 기본으로 가지고 있어야 하는 자격증입니다. 조주기능사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주관하는 국가자격증이에요. 필기시험은 100점 만점에 60점을 넘으면 통과입니다. 가장 최근인 2021년 필기 통과율은 72.8%로 높은 합격률을 기록했어요.


필기시험은 객관식 4지택일형으로, 독학할 수 있는 난이도라고 해요. 실기시험은 칵테일 제조 작업 시험이에요. 실기는 필기보다 난이도가 높은 편이지만, 2021년 합격률이 73.4%로 꽤 높은 수치입니다. 충분히 도전해볼만 하겠죠?

실기시험은 고사장마다 약간 다르게 진행되지만, 보통 7분 동안 감독관이 제시한 3가지의 칵테일을 만들어내는 과정을 거칩니다. 시험범위에 있는 칵테일의 종류도 40가지여서 기술만큼 레시피 암기도 중요한 시험이에요. 독학하거나 학원 수강을 하는 경우로 나뉘는데, 독학의 경우 레시피를 외우고 유튜브를 보면서 직접 따라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공부한다고 해요. 자격시험은 보통 1년에 4회 진행됩니다.

올해 같은 경우는 1월, 3월, 5월, 8월에 필기 원서를 접수했어요. 보통 8월까지 필기시험 접수가 마감되니, 상반기에 잘 챙겨야 합니다. 시험 신청은 한국산업인력공단 홈페이지나 큐넷에서 진행하면 됩니다.

 

컬러리스트

컬러리스트라고 아시나요? 우리가 제품이나 영상, 광고 등을 볼 때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 부분이 바로 색입니다. 같은 디자인이어도 색상에 따라 다른 느낌을 주는 경우가 많죠. 컬러리스트는 색의 배치와 연출을 통해 디자인과 상품을 개발하고, 이미지의 가치를 높여주는 색채 전문가예요. 색채에 관한 이론 지식과 실무능력이 필요하죠. 컬러리스트 자격증 시험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해요.


컬러리스트 자격증은 컬러리스트 기사와 컬러리스트 산업기사로 나뉩니다. 컬러리스트 기사가 조금더 상위 등급의 자격증이라고 보면 돼요. 컬러리스트 기사 자격증은 4년제 대학원에서 디자인이나 색채 관련 전공을 졸업한, 혹은 졸업 예정인 분들이 시험 응시 자격을 충족합니다. 4년제 대학교에서 디자인이나 색채 관련 전공을 했다면, 컬러리스트 자격증과 시각디자인 기사, 웹디자인기능사 등의 자격 등을 함께 취득하면 좋으니 참고!

컬러리스트 기사 자격증은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으로 이뤄져 있어요. 필기시험 과목으로는 색채 심리·마케팅, 색채디자인, 색채관리, 색채지각론, 색채체계론이 있어요. 산업기사 자격증 시험의 과 들보다 조금 더 심화한 응용 분야입니다. 실기시험은 6시간 정도의 작업형 색채계획 실무 과목을 수행하게 돼요.

컬러리스트 산업기사 자격증은 2~3년제 전문대학에서 디자인이나 색채 관련 전공을 졸업한, 졸업 예정인 사람들이 주로 시험에 응시해요. 물론, 4년제 대학교에서 디자인이나 색채 관련 전공자여도 응시할 수 있어요. 보통 컬러리스트 기사 자격증 취득이 어렵다고 판단될 경우 산업기사로 돌리는 편이에요. 컬러리스트 산업기사 자격증 시험 또한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으로 나뉘어 있어요. 필기시험은 색채 심리, 색채디자인, 색채관리, 색채지각의 이해, 색채체계의 이해, 이렇게 5가지 과목을 치르게 돼요. 실기시험은 5시간 가량의 작업형 시험으로 색채계획 실무 과목을 수행합니다.

시험은 매년 3번의 정기시험이 이뤄지고 있어요. 컬러리스트기사의 경우 올해엔 1월, 3월, 6월에 필기 원서를 접수했습니다. 컬러리스트 산업기사의 경우는 올해 기준 1월, 4월, 6월에 필기 원서를 접수했어요. 이제 다음 차례 시험을 위해서는 내년 1월을 노려봐야겠죠?

 

브레인트레이너

두뇌를 위한 전문가가 존재한다는 사실. 두뇌훈련전문가로 통하는 브레인트레이터가 바로 그 것이죠. 교육부가 소관하는 국가공인 민간자격으로 구분되며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에서 시행하고 있어요. 브레인트레이너는 두뇌기능 및 두뇌특성평가에 관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이해를 기반으로 두뇌능력 향상을 위한 훈련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지도할 수 있는 전문가예요.


자격증을 소지하게 되면 초·중·고등학교 방과 후 교사로 집중력 향상 수업을 진행할 수 있고, 성인을 대상으로도 스트레스 관리에 관한 프리랜서 강사로 활동할 수 있어요. 응시 자격은 4년제 대학의 졸업(예정)자라면, 혹은 2~3년제 전문대학에서 졸업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종사한 사람이라면 모두 가능합니다. 대신, 2년제 전문대학을 졸업했다면 동일 직무 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해야 하고, 3년제 전문대학을 졸업했다면 6개월 동일 직무 경력이 있으면 가능합니다.

시험은 필기와 실기로 나뉘어요. 필기는 두뇌의 구조와 기능, 두뇌특성평가법, 두뇌훈련법, 두뇌훈련지도법의 과목으로 객관식 5지선다형이에요.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이에요. 실기는 두뇌훈련지도실무능력으로 필답형이에요.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이면 통과! 필기 100분, 실기 180분의 시험 시간이 소요됩니다.

브레인트레이너 자격증은 보통 1년에 3번의 시험이 있어요. 올해는 4월, 7월, 11월에 3차례 실시됐어요. 필기와 실기를 하루에 함께 보니 참고하세요.

 

3D 프린터 운용기능사

프린터에서 3D 물체가 나온다? 다들 영상에서 3D 프린팅의 신기함을 본 적이 있을 거예요. 요즘 제품디자인을 위한 3D 프린팅 산업이 그야말로 ‘핫’하죠. 건축 설계나 제조 산업, 의료,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3D 프린터가 사용되고 있어요. 이런 3D프린터를 운용할 수 있는 기능사 자격증이 있어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국가자격증이에요. 시험에서는 3D 프린터를 통해 어떤 아이템을 어떻게 구현할지에 관한 디자인적 접근 능력과 소비자가 원하는 물건을 탐색하는 시장 조사 능력이 필요하다고 해요. 대신, 응시 자격에 제한이 없는 자격증이니 진입장벽이 낮은 편이죠.


시험은 필기와 실기로 나뉘어요. 필기에서는 3D 스캐너, 3D 모델링, 3D 프린터 설정, 3D 프린터 출력 및 후가공, 3D 프린터 교정 및 유지보수를 보게 됩니다. 객관식 4지 택일형으로 60분 동안 60문항을 보게 돼요. 실기에서는 3D프린팅 운용 실무를 3시간 동안 작업형으로 보게 됩니다. 직접 3D프린터를 통해 작업을 해보는 시험이에요. 둘 다 100점 만점에 60점을 이상이면 통과예요. 큐넷에서 3D프린터운용기능사 최신 문제를 공개하고 있으니, 도면 출제 경향을 참고해볼 수 있겠죠?

시험은 매년 3~4회 진행돼요. 올해는 필기 기준 1월, 3월, 8월에, 실기 기준 3월, 5월, 11월에 치러졌습니다. 최근 2년간 필기시험은 68.8%, 실기시험은 75.8%의 높은 합격률을 보이고 있으니 너무 걱정하지 말고 도전해보길 권할게요.

 

정리 수납 자격증

정리에도 자격증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정리수납전문가는 말 그대로 물건 정리를 잘 못해서 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문제점을 지적하고, 정리 수납 기술과 방법을 활용해 시스템화된 공간정리를 해주는 전문가입니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레 정식 등록된 민간 자격증이고, 고등학교 졸업자 이상이면 누구나 응시할 수 있어요. 보다 실생활과 밀착한 자격증이라 직업과 관련되지 않아도 2023년 깔끔한 ‘갓생’을 살기 원하는 분이라면 가벼운 마음으로 도전해볼 수 있을 거예요.


한국직업능력연구원에서 관리하는 커리큘럼은 단일 주제로 총 25회 진행돼요. 수업에는 정리 이론과 수납 이론에 대한 이해, 집안에 두고 있는 물품 정리, 아이 방이나 욕실 등 공간별 수납 방법, 정리수납 서비스 서류 업무 및 견적 등의 영역이 포함됩니다. 해당 자격증은 취득까지 난이도가 높지 않아요. 민간자격증이라 강의하는 다양한 교육기관이 있는데, 대체로 30~50시간의 강의를 듣고 발표와 시험을 거쳐 최종합격하게 됩니다. 민간 시험이라는 특성상 난이도가 조정되기 때문에 최근 합격률을 90% 이상! 출석률과 시험 점수만 맞춘다면 자격증을 얻을 수 있어요. 출석은 전체의 60% 이상부터 응시할 수 있고, 60점만 넘으면 합격입니다. 다만, 전문지도사, 1급, 2급으로 급수가 나뉘는데, 등급별로 난이도 차이가 꽤 큰 편이니 처음 시작할 때 주의해야 합니다.



Freelance Editor 이정민

Photo Unsplash

클로즈업 | CLOSE UP

사업자 등록번호 104-81-55280 | 대표 강주연

통신판매업 신고 번호 2014-서울강남-00333

허스트중앙(유) 서울시 강남구 도산대로 156

E-mail jobcloseup@gmail.com


Copyright ⓒ 2022 Hearst Joongang. All Rights Reserved.

클로즈업 | CLOSE UP

사업자 등록번호 104-81-55280 | 대표 강주연

통신판매업 신고 번호 2014-서울강남-00333

허스트중앙(유) 서울시 강남구 도산대로 156

E-mail jobcloseup@gmail.com


Copyright ⓒ 2022 Hearst Joongan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