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관심사내가 원할 때만 일하고 싶어, 나도 긱워커로 살 수 있을까?

필요한 돈을 마련할 때까지만 일하고 일자리를 떠나는 ‘프리터(Free+Arbeiter)족’이 증가하며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장소에서 일하는 ‘긱워커’를 위한 플랫폼도 늘어나고 있다. 그래서 준비했다, 일하고 싶을 때 일해서 벌고 싶은 만큼 버는 긱워커를 위한 안내서.



지난 10월 긱워커 플랫폼 ‘뉴워커’는 인크루트 회원 815명(직장인 67.2%, 대학생 4%, 구직자 23.8%, 프리터족 4.9%)을 대상으로 ‘프리터족과 긱워커에 대한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당신은 프리터족의 증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매우 긍정 11.9%, 대체로 긍정 47.2%, 대체로 부정 35%, 매우 부정 5.9%. 응답자의 과반이 긍정적이었다.


이유는 뭘까? “본인이 원하는 삶을 사는 것이기 때문”이란 답변이 46.1%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사회생활로 인한 스트레스가 줄어 건강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가 22%, “취미생활 등에 많은 시간을 쓸 수 있어서” 17%, “다양한 일을 해볼 수 있어서”는 13.3%였다.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이유로는 “자발적인 프리터족보다 취업난 등 비자발적인 프리터족이 증가한 것 같다”는 의견이 38.7%로 가장 많았다. “노후대비를 하지 못할 것 같아서” 21.6%, “한국의 아르바이트 시급으로 정상적인 생활을 하기 어렵다고 생각해서” 18.3%, “비혼, 비출산 등의 문화가 더 심해질 것 같아서”는 10.2%였다.


프리터족을 제외한 응답자에게 프리터족이 될 의향도 물었다. 의향 있다는 답변은 51.5%. “내가 원할 때만 일하고 싶어서” 32.1%, “여러 가지 일을 해보고 싶어서” 18.5%, “조직생활이 답답해서” 18% 순의 이유였다. 프리터족으로 일한다면 어떤 방식을 선택할지 묻자 초단기 일자리와 정기 아르바이트를 병행하겠다는 답변이 61%, 초단기 일자리만 하겠다는 답변은 25.7%였다.


그렇다면 디지털 플랫폼 등을 통해 단기 계약을 맺고 초단기 노동을 제공하는 근로자, 이른바 ‘긱워커’의 등장은 어떻게 바라볼까? 응답자의 70.8%는 긍정적이었다. 또한 프리터족은 아니지만 추가 수입이나 자아 실현을 위해 초단기 일자리를 본업과 병행할 의향에 대해 87.8%가 ‘의향 있다’라고 답했다. 



+ 프리터족, 긱워커, 그리고 n잡러를 위한 플랫폼

  • 긱플: 최소 30분, 최대 2시간 교육을 받으면 누구나 긱워커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HR플랫폼이다. 앱에 접속해 구독 탭을 보면 주요 일거리들을 한번에 파악할 수 있다. 체험단 이벤트, 좌담회, 인터뷰 참여하기 등 상대적으로 가볍고 일회성인 일자리부터 행사 스태프, 콘서트 검표, 전단지 배포 등의 일자리도 구할 수 있다.


  • 더벌자: 인공지능기반으로 아르바이트를 찾는 플랫폼. 원하는 장소, 시간, 소득 등을 입력하면 최적의 공고를 안내해준다. 동시에 현재 보고 있는 공고와 시간이 겹치지 않게 같이 일할 수 있는 공도도 볼 수 있다. 


  • : 프리랜서 고용 사이트 ‘크몽’에서 출시한 아르바이트 전문 플랫폼. 작업 보조, 행사 판촉, 사무 보조, 매장 관리 등 단기 알바를 매칭해준다. 최저 시급 1만원 이상의 단기 일자리도 구할 수 있다. 


  • 이지태스크: 단순 사무직, 자료 입력, 문서 편집 같은 온라인 사무 보조 업무를 연결해준다. 학력, 사무 능력, 프로그램 역량, 업무 가능 일정, 자격증 등을 등록 후 이루미 업무 교육 및 테스트를 완료하면 활동이 가능하다. 



+수입 관리가 어려운 긱워커를 위한 금융서비스

  • 소크라택스: 올해 1월 한화생명이 긱워커를 위해 출시한 맞춤형 절세 플랫폼. 데이터를 연동하면 실시간 수입과 지출 내역을 확인할 수 있어 가계부를 쓰듯 장부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예상 납부세액, 절세 가이드 등을 지원하는데, 일반적인 직장인과 달리 사업소득자로 분류돼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하는 긱워커를 위한 시뮬레이션 서비스가 눈에 띈다.



참고 프리터족과 긱워커에 대한 인식 설문조사 결과 인포그래픽, 한화생명 소크라택스  

Freelance Editor 김가혜

Photo Unsplash  



클로즈업 | CLOSE UP

사업자 등록번호 104-81-55280 | 대표 강주연

통신판매업 신고 번호 2014-서울강남-00333

허스트중앙(유) 서울시 강남구 도산대로 156

E-mail jobcloseup@gmail.com


Copyright ⓒ 2022 Hearst Joongang. All Rights Reserved.

클로즈업 | CLOSE UP

사업자 등록번호 104-81-55280 | 대표 강주연

통신판매업 신고 번호 2014-서울강남-00333

허스트중앙(유) 서울시 강남구 도산대로 156

E-mail jobcloseup@gmail.com


Copyright ⓒ 2022 Hearst Joongang. All Rights Reserved.